ubuntu 7

ubuntu 파일 권한 변경 chmod

ubuntu를 사용중 파일 권한을 바꾸고 싶을때 사용하는 chmod에 대하여 알아보자 우선 ubuntu 서버에서 ls -alf 를 입력해본다면 파일들의 권한과 소유자 소유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. 요런식으로 이 포스팅에서는 사진 앞에있는 drw--------- 어쩌구 저쩌구 변경하는것을 알아볼것이다. 혹시 파일 소유자와 소유그룹 변경을 알고싶다면 https://yunikism.tistory.com/47 ubuntu 파일 폴더 소유자 변경 ubuntu 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수유자 및 소유그룹을 변경하는법 chown 옵션 소유자:소유그룹 파일or폴더명 예를들어 소유자를변경할경우 chown -R user1 testDirec 소유그룹을 변경할경우 chown -R :user1 testD yunikism.tistor..

개발/server 2023.07.31

ubuntu 파일 폴더 소유자 변경

ubuntu 에서 파일이나 폴더의 수유자 및 소유그룹을 변경하는법 chown 옵션 소유자:소유그룹 파일or폴더명 예를들어 소유자를변경할경우 chown -R user1 testDirec 소유그룹을 변경할경우 chown -R :user1 testDirec 변경을 한 후 ls - l 을 출력해보면 바뀐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옵션 옵션 설명 -c 변경된 파일을 자세하게 보여줌 -f 변경되지 않은 파일에 대해서 오류 메시지를 보여주지 않음 -v 작업상태를 자세히 보여줌 -R 경로와 그 하위 파일들을 모두 변경 옵션은 생략가능함. 예를들어 chown user1 testDirec 이런식으로 간단하게 가능하다.

개발/server 2023.07.18

ubuntu alias 추가

alias란?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를 특정 문자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기능 예를들어 tlog2='tail -f /svc/ss/was/tomcat/dddd/logs/catalina.out' 이런식으로 로그를 본다거나 할때 , 귀찮게 저 뒤에긴~명령어를 다 작성하지않고 tlog2 만 shell에 입력하면 바로 사용된다. 추가하는법 vi ~/.bashrc 터미널에 위에것을 입력하고 쭈우욱 내려보면 수정할 수 있게 나온다 i 를 누르고 원하는 내용을 작성하고 tlog2='tail -f /svc/ss/was/tomcat/dddd/logs/catalina.out' :wq를 누르고 나온다 ( 참고로 :wq는 저장하고 나가기) :wq 그리고 source ~/.bashrc 터미널에 적용 source ~/.bashr..

개발/server 2023.07.06

ubuntu 디스크 용량 확인 (df/du)

df : 디스크의 남은 용량 확인 df -k : 키로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을 확인 df -m : 메가바이트 단위로 남은 용량을 확인 df -h : 가독성 좋게 출력 df . : 현재 디렉토리가 포함 된 파티션의 남은 용량을 확인 du :현재 디렉토리의 사용량을 확인 ( 서브디렉토리 포함 ) du -a : 현재 디렉토리 사용량을 파일 단위로 출력 du -s : 총 사용량을 출력 du -h : 가독성 좋게 출력 du -sh * : 한 단계 서브디렉토리 기준으로 출력

개발/server 2023.06.27